본문 바로가기
재테크

[2025년 업데이트] 역대 정부별 코스피 주식 변동과 경제 정책 총정리

by 아너(honor) 2025. 2. 19.

역대 정부별 주가 변동 및 경제 흐름 분석

각 정부는 국내 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왔으며,이러한 정책들은 주식시장(코스피)을 비롯한 경제 전반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습니다. 그러나 금 시세, 금리, 환율 등은 정부 정책보다는 글로벌 경기 상황과 같은 대외 변수에 의해 더 큰 변동성을 보여왔습니다. 이 글에서는 1998년 이후 각 정부별 주요 정책과 당시 국내외 경제 흐름, 관련 경제 지표의 변화, 주요 대외 변수 및 수혜 업종을 정리하였습니다

 

목차

  1. 김대중 정부 (1998 2 ~ 2003 2)
  2. 노무현 정부 (2003 2 ~ 2008 2)
  3. 이명박 정부 (2008 2 ~ 2013 2)
  4. 박근혜 정부 (2013 2 ~ 2017 3)
  5. 문재인 정부 (2017 5 ~ 2022 5)
  6. 역대 정부별 코스피(KOSPI) 주식 지표 변동 요약
  7. 결론

1998년 2월부터 2025년2월18일까지 코스피 주가
1998년 2월부터 2025년2월18일까지 코스피 주가


 

김대중 정부 (1998년 2월 ~ 2003년 2월) 주요 정책 및 경제 흐름

IMF 외환위기 극복 : 긴축 재정, 구조 조정, 외환 자유화 등으로 경제 회복 도모
벤처기업 육성 : IT 및 벤처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으로 '벤처 붐' 형성

주요 대외 변수

아시아 외환위기 여파 지속
미국 IT 버블(1999~2000년), 버블 붕괴(2000년 이후)
세계 경제 회복세 시작

수혜 업종

IT/벤처: 정부 지원 및 닷컴 붐 영향
반도체: 글로벌 수요 증가
수출주: 원화 약세와 글로벌 경기 회복 영향

노무현 정부 (2003년 2월 ~ 2008년 2월) 주요 정책 및 경제 흐름

동북아 경제 중심지 구상: 동북아 허브 전략 추진
부동산 정책: 부동산 가격 안정을 위한 규제 정책 시행

주요 대외 변수

중국 경제 고성장(연평균 10% 내외 성장)
글로벌 유동성 확대(저금리 기조)
원자재 슈퍼사이클(유가, 금속류 상승)

수혜 업종

건설/플랜트: 중동·해외 수주 증가
철강/소재: 원자재 가격 상승, 중국 수요 확대
조선: 고유가 및 해상 물동량 증가

1998년 2월부터 2008년2월까지 코스피 주가

이명박 정부 (2008년 2월 ~ 2013년 2월) 주요 정책 및 경제 흐름

녹색성장: 친환경 산업 육성 및 4대 강 사업 추진
글로벌 금융위기 대응: 2008년 금융위기 대응을 위한 경기 부양책 시행

주요 대외 변수

글로벌 금융위기(2008년), 미국 서브프라임 모기지 사태
유럽 재정위기(2010~2012년)
중국 경기 부양책 시행(대규모 인프라 투자)

수혜 업종

자동차: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쟁력 강화 및 수출 증가
IT/반도체: 경기 회복 국면에서 수요 회복
건설/시멘트: 중국 인프라 투자 확대 수혜

박근혜 정부 (2013년 2월 ~ 2017년 3월) 주요 정책 및 경제 흐름

창조경제: 창의성과 혁신을 강조하는 정책 추진
가계부채 문제 대응: 가계부채 증가에 대한 대응책 마련

주요 대외 변수

미국 테이퍼링(양적 완화 축소) 및 금리 인상 시작
중국 성장 둔화 및 사드(THAAD) 갈등(2016년)
저유가 흐름(2014년 이후)

수혜 업종

헬스케어/바이오: 국내외 고령화 및 제약·바이오 기술 부각
소비재(화장품 등): 한류와 맞물려 중국 소비시장 확대(초반)
전기전자: 스마트폰 및 가전 수출 회복

2008년 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코스피 주가
2008년 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코스피 주가

문재인 정부 (2017년 5월 ~ 2022년 5월) 주요 정책 및 경제 흐름

소득주도성장: 최저임금 인상, 내수 활성화 추진
혁신성장: 4차 산업혁명 대응을 위한 기술 혁신 지원

주요 대외 변수

미·중 무역분쟁(2018년 시작)
코로나19 팬데믹(2020년)
글로벌 저금리 및 유동성 확대

수혜 업종

2차전지: 전기차 시장 확대
바이오: 코로나19 치료제, 백신 관련 기업 주목
플랫폼/IT: 비대면 서비스 확대

2017년 3월부터 2025년 2월18일까지 코스피 주가
2017년 3월부터 2025년 2월18일까지 코스피 주가


[표] 역대 정부별 코스피(KOSPI) 주식 지표 변화 요약

정부 임기
시작 시기
임기
종료 시기
상승률 최고가 상승률
(최고가 기준)
김대중 (1998~2003) 556.58 591.88 +6.34% 1,066.18 +91.5%
노무현 (2003~2008) 591.88 1,645.05 +177.9% 2,085.45 +252.2%
이명박 (2008~2013) 1,645.05 1,964.75 +19.4% 2,231.47 +35.6%
박근혜 (2013~2017) 1,964.75 2,105.19 +7.1% 2,189.54 +11.4%
문재인 (2017~2022) 2,105.19 2,669.21 +26.7% 3,316.08 +57.5%
           

 


📢 결론

장기적으로 KOSPI는 우상향 하였지만, 글로벌 경제 상황과 정부 정책에 따라 상승 폭에 차이가 있었습니다. 각 정부별로 다양한 경제 정책이 시행되었으나, 글로벌 경제 상황, 금리 및 환율 변화에 따른 코스피 변동이 발생하였으며,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, 미중 무역 분쟁, 코로나19 팬데믹 등 대외 변수는 국내 경제 및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